곤충과 해충 (4) 썸네일형 리스트형 "빈대(bed bug),(Cimex lectularius)의 임상 증상을 알고, 예방하는 방법" 01 임상 증상 및 진단・치료 임상 증상 ✔ 진료과 및 임상 증상 - 진료과 : 가정의학과, 피부과, 감염내과 - 노출부위 : 팔, 다리, 발, 얼굴, 목 등 잠옷이나 담요로 덮지 않은 부위 - 빈대 물림과 관련된 가장 흔한 증상 : 소양증, 반구진성, 홍반성 피부병변 ※ 흡혈 시 분비되는 타액으로 인한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드물게 보고됨. 진단 - 빈대 물림과 관련된 의심 증상 및 빈대 노출 관련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경우 • (오염공간 내 빈대 출현 증후 확인) 침대 매트리스 및 프레임, 협탁, 커튼 등에서 약충 또는 성충을 확인, 탈피 흔적‧알 또는 부화 흔적 확인, 배설 흔적 확인, 특유 냄새 등 치료 - 빈대 물림을 치료하려면 반복적으로 물리지 않도록 해야 함 - 빈대 물.. "빈대(bed bug),(Cimex lectularius)의 생태와 특징: 유형과 대응 전략" 흡혈해충의 특징과 발생현황 01 정의 ✔ 빈대(Bed Bugs)에 의한 피부질환 - 흡혈곤충인 빈대(Insecta: Hemiptera: Cimicidae)에 물려 발생하는 소양증, 반구진성 홍반성 피부 병변 유발 • 온혈동물의 피를 빨아 생명을 유지하는 불쾌곤충(nuisance insect)으로 전 세계에서 발견되 며, 그 특성 때문에 사람들이 거주하는 도시 지역에서 특히 영향이 큼 • 감염성 질환을 매개하지는 않으나2)3), 심리적 영향, 알레르기 증상 등 건강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거지의 빈대 출현 징후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 필요. 02 특징 빈대(Insecta: Hemiptera: Cimicidae) • 곤충강(Insecta) 노린재목(Hemiptera) 빈대과(Cimicidae) 빈대속(Cimex)에 속함 .. 곤충이란? 곤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어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동물이 바로 곤충입니다. 곤충은 몸이 머리, 가슴, 배로 나뉘고 다리가 6개인 동물입니다. 곤충은 전체 동물 가운데 약 4분의 3이나 차지할 만큼 그 수가 많고 종류도 다양합니다. 지금까지 기록된 종류만 해도 약 100만 종이 넘습니다. 곤충이라는 말은 ≪한서 漢書≫에 ‘초목곤충(草木昆蟲)’으로 나타나므로, 우리 나라도 오래 전부터 곤충이라는 말을 썼을 것이나 정확히 언제부터인지 알 수 없습니다. ≪재물보 才物譜≫에는 동물에 해당되는 것들은 우충(羽蟲)·모충(毛蟲)·인충(鱗蟲)·개충(介蟲)·곤충(昆蟲)의 5무리로 나누었고, ≪물명고 物名考≫에도 또한 동물을 우충·수족(獸族, 鸁蟲 포함)·수족(水族, 인충·개충 포함)·곤충의.. 해충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생활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해를 주는 곤충의 총칭으로, 이, 빈대, 모기같은 흡혈성 곤충과 독나방 등은 인체에 해가 되어 독충이라고 불리는 일이 있다. 또한, 바퀴나 좀, 파리 등은 간접적인 해를 끼치는 대표적인 해충에 속한다. 해충은 인간을 중심으로 생각하였을 때의 이해관계에서 본 상대적인 호칭이며, 모든 곤충에 해충과 익충의 구별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인간은 그 생활과 번영을 위해서 지구상의 모든 물질을 최고도로, 또한 다각적으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그 이용 도상에서 곤충의 생활과 많은 접촉점이 생긴다. 이 접촉점에 생긴 인간 쪽의 피해를 충해(蟲害)라고 한다. 직접적인 해는 흡혈성 곤충(吸血性昆蟲:벼룩 ·이 ·빈대 ·모기 등)에 의한 것, 자교성 곤충(刺咬性昆蟲:벌 ·독나방 등),.. 이전 1 다음